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스프링
- 백엔드부트캠프
- IDE
- 유데미
- redirectAttributes
- Frontend
- 취업부트캠프
- 용산캠
- 새싹
- gradle
- 개발자부트캠프
- 유데미코리아
- 부트캠프후기
- springmvc
- 포트폴리오
- 유데미부트캠프
- IntelliJ
- 청년취업사관학교
- 취업특강
- 자바
- Backend
- Flash
- SeSAC
- 꿀팁
- SpringBoot
- MVC패턴
- Spring Framework
- 스타터스부트캠프
- 개발자취업
- 백엔드
- Today
- Total
목록분류 전체보기 (16)
훌륭한 개발자 동료로 성장하길 꿈꾸며

SpringMVC에서 자주 등장하는 `Model`과 `RedirectAttributes`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MVC 패턴 : Model - View - Controller **SpringMVC : Spring Framework의 모듈의 일종으로, @Controller, @RequestParam 등 다양한 어노테이션을 제공함 두 객체 모두 데이터를 저장하고 컨트롤러에서 뷰로 전달하는 공통된 기능을 제공하지만, 사용처와 동작 방식에 차이가 있다. Model `Model` 객체는 Controller에서 View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객체로, 주로 Controller 메서드에서 생성되고 반환되는 View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Model` 객체를 사용하여 View에서 사용할 수 있..

인텔리제이는 사용자를 위해 다양한 편의 기능을 제공한다. 그 중 대표적인 Build Gradle 기능을 활성화 시키는 방법을 공유해본다. 나는 해당 기능(버튼)을 망치라고 부른다. 보다시피 망치 모양으로 생겼고, 이 기능을 알려준 스타터스 동기가 망치라고 불러서?ㅋㅋㅋ 이 버튼을 누르면 서버 재시작 없이 정적 리소스(HTML, CSS 등)의 변경사항을 실시간으로 반영해준다! 정적 리소스의 경우에 한정될 뿐이지만, 직접 써보면 작업 효율이 상승하는 것을 무조건 체감할 수 있다! 설정방법은 크게 어렵지 않다. Gradle 프로젝트의 경우 build.gradle 파일에 아래와 같이 의존성을 추가해주면 된다. dependencies { developmentOnly("org.springframework.boot:..

'SW개발자 포트폴리오 취업 특강'을 듣기 위해, 약 한 달만에 청년취업사관학교 용산 캠퍼스를 다녀왔다. 취업을 준비하며, 나와 비슷한 고민을 할 예비 개발자들을 위해 특강에 대한 소회 및 내용을 공유해보려 한다. 특강 강사님은 폴센트라는 스타트업에서 개발자로 근무 중이신 김병욱님이었다. 처음에 병욱님의 이력에 대한 정보를 문자로 받고 별 생각이 없었는데, 본인의 포트폴리오를 보여주시는 순간, 비전공자 개발자 포트폴리오 레퍼런스로 항상 언급되던 분이라는 게 생각났다 ㅎㅎ 아래는 병욱님의 포트폴리오 링크이다. Bu-k의 포트폴리오 신입 서버개발자 김병욱입니다. deaguowl.github.io 아래는 특강 내용을 정리한 것이고, 누군가에게는 도움이 되는 내용이었으면 좋겠다! 이력서 vs 포트폴리오? 이력서..

# 한주 되돌아보기 파이널 데모데이!! 드디어 스타터스 3기 최종 관문인 파이널 프로젝트의 데모데이까지 마쳤다.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2/6~ 3/3 거의 프로젝트만 붙잡고 살았던 것 같다. 내 2월 어디감....? 그래도 정말 많은 걸 얻어간 팀프로젝트였다. 정리왕 팀장과 리베이스 전문가인 스크럼마스터, CTO와 테크리더..! 운좋게도 정말정말 좋은 팀장, 팀원들을 만나, 한달 열심히 살 수 있었던 것 같다. 내가 어딜 가도 늘 이야기하듯, 우리팀이 최고의 황금 밸런스였던 것 같다!!! 데모데이 직전 새벽 3-4시까지 작업을 하느라, 너무 힘들었는데.. 6시반에 자고 나온 팀장을 보며 미안한 마음이 들기도 했다. 데모데이도 어찌어찌 잘 했는데, 하.. 발표는 항상 어려운 것 같다. 평소에는 잘 떠들..

# 한주 되돌아보기 파이널 프로젝트!! 이번 주도 정신없이 지나갔다. 오전 9시부터 오후 10시까지 학원에서 열심히 회의하고, 코드를 짜고.. 집에와서는 스타터스 동기들과 게더타운에서 만나 새벽까지 코딩을 정신없이 하고...ㅎ(이거 맞아요?) 지난 금요일에는 2차 데모데이가 진행됐다. 다음 주에 파이널(3차) 데모데이가 있기 때문에, 연습 차원에서 각 팀의 모든 팀원이 발표에 참여했다. 나는 우리팀이 제작 중인 멘토링 웹서비스의 '관리자 페이지'를 맡아 발표했다. 4시부터 발표 스케줄이 잡혀있었는데, 그날은 ENTITY와 MOCK DATA 사이에서 지옥을 겪느라 발표 준비를 따로 못했다. 나뿐만 아니라, 우리 팀원들은 거의 프리스타일로 발표를 했다 ㅋㅋㅋㅋㅋ정말 뭐라 떠들고 들어왔는지 모르겠다. 의도치 ..

# 한주 되돌아보기 파이널 프로젝트!! 이번주는 본격적으로 파이널 프로젝트만을 위한 일정이 진행됐다. 우리 조는 기존에 배운 내용에 한정되는 게 아닌, 각자 배워보고 도전해보고 싶었던 것들을 중심으로 프로젝트를 진행하자고 합의가 됐다. 그 결과 JPA, Thymeleaf, Gradle 등 교육에서 다루지 않았던 내용을 채택했다. 현재까지 우리 조의 진행상황은 매우 만족스럽다ㅎㅎ 탄탄한 기획을 기반으로, 차질 없이 코드를 짤 수 있었다. 우리 팀의 최대 장점은 페어프로그램을 접목시킨 것이다. 팀장은 전체적인 운영 및 프론트 영역을 맡아줬고, 나머지 4명은 2명씩 나눠 짝을 이루고 분담된 업무를 함께 수행했다. 나와 페어인 팀원은 entity 설계와 멘토링 신청 api 설계 등을 함께 진행했다. 처음 배우는..